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풍경좋은 고모리 저수지 옆 정통의 돼지갈비 맛을 즐기는 곳, 포천시 소흘읍 광릉왕갈비

맛있고 행복한 곳...

by jeff's spot story 2025. 9. 7. 00:20

본문

포천의 고모리 저수지는 평소에는 찾는 이들이 많은 곳이다. 서울에서 가깝고, 늘 물이 차 있는 저수지의 풍광이 좋기 때문이다. 고모리 저수지 바로 옆 한식으로 유명한 욕쟁이 할머니 식당 맞은편에 이집이 있다. 사실 그렇게 자주 고모리를 갔었지만 여기 갈비집이 있는지 잘 몰랐다. 도로에서 살짝 안쪽으로 들어간 곳으로 눈에 잘 띄지는 않는 곳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에 가서 느낀 것인데 정통의 맛을 자랑하는 완전 빈티지 분위기의 갈비집이었다. 요즘도 이렇게 과거의 방식으로 갈비를 파는 곳이 있는지 솔직히 잘 몰랐다. 예전의 정서까지 함께 즐길 수 있는 제대로 된 갈비집이라 하겠다. 

 

우리는 이날 단체 손님이었다. 강원도 고성에서 온 손님들과 함께 한 자리로 거의 30명 정도는 되는 인원이었다. 그런데도 여긴 단체 손님을 받을 준비가 완벽하게 되어 있는 곳이었다. 이런 올드한 감성을 어디서 느낄 수 있을까? 회식으로는 이만한 곳이 없지 싶을 정도로 제대로 된 회식자리라 하겠다. 식사를 주관한 사람이 아니기에 무엇을 주문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아마도 이집의 시그니쳐인 돼지갈비를 주문한 것 같았다. 숯불이 나오고, 동그란 테이블에 삼삼오오 모여 앉아 술잔을 기울이며 자욱한 갈비 굽는 연기가 가득한 실내는 정말로 90년 대 어디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을 불러 일으켰다. 

 

사실 돼지갈비가 과거만큼 인기있는 회식 아이템은 아닌 것 같다. 요즘 사람들은 주로 삼겹살을 먹는다. 삼겹살 쪽으로 살이 더 가야 하기 때문에 오히려 갈비살은 조금은 천덕꾸러기가 된 것 같은 시대다. 하지만 회식에서 있어 가장 선호했던 아이템은 역시 돼지갈비였다. 과거에는 돼지갈비를 구우면서 옷에 밴 갈비냄새를 자랑삼아 더 풍기고 다닐 정도로 사람들은 돼지갈비를 좋아라했다. 사실 돼지갈비는 양념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렇게 여러 사람이 술을 마시며 굽다 보면 쉽게 탈 수도 있다. 그래서 종업원들이 부지런히 테이블을 돌아다니며 관리를 해주어야 한다. 

 

빨간 숯불에 올라간 돼지갈비는 그 자체로 즐거운 자리라는 것을 암시하는 일종의 무언의 메시지이다. 자연스럽게 뼈에 붙어 있는 돼지갈비를 보기 힘들다는 시대이지만 이날 만나 돼지갈비는 예전의 모습처럼 뼈에 튼실하게 붙어 있었다. 사실 갈비는 살코기 보다 나중에 잘 익은 갈비뼈를 뜯는 것이 진정한 맛 아닐까? 술잔이 오가고 사람들의 즐거운 대화가 오가는 자리에서 갈비는 잘 익어갔다. 수시로 잘 익은 고기를 집어 먹으면서 술잔을 돌렸다. 역시 달달한 고기의 맛이 술맛을 제대로 살려준다. 이런 맛에 돼지갈비를 먹는 것이리라. 막걸리보다는 역시 소주여야 진정 잘 어울리는 것 같다. 

 

중간에 건배제의가 오기는 바람에 잘 익은 돼지갈비 사진을 제대로 찍지 못했다. 하지만 정말 즐겁고 재미있는 자리였고, 제대로 된 돼지갈비의 진정한 맛을 느낄 수 있었다. 누가 잡았는지 여기는 이날 회식의 하일라이트라 하겠다. 포천에도 이렇게 규모가 크고 제대로 된 집이 있다는 것에 감사하고 싶을 지경이었다. 사람들은 너나 할 것 없이 모두들 즐겁고 행복한 나라로 들어갔다. 여기는 정말 보기 드문 아름다운 회식의 자리였다고 하겠다. 문득 메뉴판을 보니 가격이 싼 편은 아닌데 그래도 이렇게 과거 감성에 빠질 수 있게 해준 이집에 감사를 해야 할 것 같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