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메뉴로 무엇을 먹을것인가? 매일 닥치는 일이지만 늘 명쾌한 해답은 없다. 이날 원래 계획은 자주 갔던 부대찌개 집을 가는 것이었다. 하지만 하필이면 쉬는 날이란다. 주중에 생뚱맞게 쉬면 어쩌란 말인가? 하지만 어쩌랴 다른 집으로 가야하는 것을... 그렇게 다시 발길을 돌리다 이집을 발견했다. 이곳은 바다목장이라는 횟집이 있던 곳이다. 한동안 횟집으로 장사를 했던 곳인데 이날 보니 갑자기 국수집으로 바뀐 것이다. 해물칼국수로 나름 이름이 있는 박승광 해물칼국수와 같은 계열의 체인점인 박가면장이라는 국수집이다.
횟집일 때는 잘 몰랐는데 막상 실내로 들어가 보니 규모가 엄청 컸다. 하긴 횟집은 각 방에 손님들이 들어가는 방식이라 함께 앉아 먹는 공간은 별로 보지 못했다. 하지만 이렇게 한꺼번에 터 버리니 꽤나 넓은 식당이었던 것이다. 면장이라는 이름처럼 여기는 면을 자가제면을 한단다. 그러니 간단한 잔치국수도 뭔가 다른 식감이 있는 것이다. 잔치국수의 가격은 8,000원이다. 이게 싼 것인지 비싼 것인지 잘 모르겠다. 아무튼 잔치국수가 나와서 보니 비주얼이 예사롭지 않더라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보아왔던 잔치국수라기 보다는 우동같다고 할까?
계란지단이 엄청나게 고명으로 들어간 국수였는데 먹어보니 식감도 일반적인 소면이나 중면과는 달랐다. 역시 면을 직접 만들어 쓰는 모양이다. 국물도 흔한 멸치육수는 아니었다. 뭔가 다른 재료들이 더 들어가 맛이 혼합된 복합적인 것이었다. 이렇게 창의적인 국수를 만들기 때문에 체인사업을 하는 것이겠지... 박승광 해물칼국수도 여러번 가 봤는데 거기도 면을 직접 만들어 쓰는 것 같았다. 면발에는 진심이 있는 곳이라 하겠다. 우리는 잔치국수와 비빔국수, 그리고 맛보기 수육도 주문했다. 보통 국수집에선 보기 드문 수육을 먹어 볼 생각이었다.
잔치국수와 달리 비빔국수는 양념이 센 편이었다. 단짠맵의 전형적인 맛이다. 이런 양념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즐겨 먹을 국수라 하겠다. 면은 잔치국수와 같은 직접 만든 것이다. 이런 맛은 다른 곳에선 보기 드문 것이다. 하지만 약간은 호불호가 있을 것 같기는 했다. 아주 매운 것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양념맛이 강한 것은 사실이다. 새로 문을 연 집이라 그런지 사람들이 꽤나 많았다. 한국 사람들의 국수사랑은 유명하지 않던가? 누군가 종업원에게 콩국수를 연중 사시사철 파냐고 물었는데 그렇단다. 여기는 겨울에도 콩국수를 먹어 볼 수 있는 곳이다.
그런데 면장이라는 상호가 무색하게 가장 맛이 좋았던 것은 수육이었다. 이런... 솔직히 여기는 점심 때 와서 간단히 국수를 먹으며 한끼를 때우는 곳이라기 보다는 저녁에 와서 술 한 잔 하면서 수육에 푸짐하게 먹는 집이라는 표현이 더 맞을 것 같다. 수육 외에 족발도 있으니 더욱 그렇다. 고기 맛은 아주 훌륭했다. 만일 저녁에 온다면 고기를 먹고 후식으로 잔치국수를 먹을 수 있을 것이다. 아마도 그런 조합을 하는 것이 더 좋은 선택이 될 것 같다. 고기와 국수는 또 누구나 좋아하는 궁합이 아닌가? 암튼 푸짐하게 점심도 잘 먹었다.
식당이라기 보다는 친척집에서 식사하는 느낌의 점심 한 끼, 포천시 가산면 사랑채 (0) | 2025.04.01 |
---|---|
학교 다니던 시절을 떠올리게 하는 젊은 취향의 분식집, 포천시 포천동 토마토 & 김밥 (0) | 2025.03.31 |
상호는 감자탕인데 맛있게 먹은 한 끼는 부대찌개네, 충주시 교통대 앞 생각나는 감자탕 (0) | 2025.03.25 |
바야흐로 딸기의 계절, 상큼하고 달달한 딸기로 에너지 충전, 포천시 창수면 몽글몽글팜 (0) | 2025.03.24 |
예전의 학사주점을 연상케하는 올드하지만 푸근한 분위기 주점, 포천시 포천동 동백연화 (0) | 2025.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