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안면도를 가면서 알게 된 사실인데 이 근처의 가장 흔한 먹거리 아이템은 '게국지'였다. 이게 뭘까? 내륙 그것도 북부에 사는 사람들은 게국지라는 음식을 먹어 본 적이 거의 없다. 아주 오래 전 한 번 먹었던 기억은 있는데 큰 감명을 받지는 못했던 것 같다. 사실 아직도 게국지가 뭔지 정확히 모른다. 하지만 안면도에서는 가는데마다 게국지를 판다고 되어 있다. '게'라는 단어가 있는 것을 보면 꽃게를 사용하는 국물 같다는 생각은 드는데 먹어봐야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선택한 식당은 서해 바다가 잘 보이는 배 모양의 식당 '털보선장 횟집' 이었다.
우리는 게국지를 잘 모르기 때문에 게국지와 간장게장을 세트로 파는 메뉴를 주문했다. 2인이면 70,000원 짜리다. 비싸다면 비싼 가격이다. 종업원이 한사코 간장게장에는 게가 한 마리만 나온다고 강조했다. 2인 세트인데 왜 게 한마리냐고 따지는 손님들이 많았나 보다. 게국지가 뭐냐고 물었더니 자신들은 김치가 아니라 그냥 배추를 사용한단다. 그 말을 들으니 뭔지 더 모르겠다. 나중에 게국지가 나온 다음에 보니 일종의 꽃게탕이었다. 거기에 아마도 갓담근 김치를 넣거나 여기처럼 배추를 넣어 시원하게 끓여 낸 탕이 바로 게국지인 것이다.
그리고 백반집처럼 반찬이 제법 많이 나온다. 우린 밥을 하나만 주문했지만 밥 좋아하는 사람들은 이런 반찬에 몇 공기는 먹을 것이다. 시원하게 게 넣고 끓인 탕이라면 훌륭한 안주가 아니던가? 당연히 소주 한 잔 해야 한다. 반찬 중에는 청어구이도 있다. 그리고 대망의 간장게장이 있다. 정말 한 마리를 쪼개서 내어 주었다. 하지만 사실 이날의 주인공은 게국지가 아니라 간장게장이었다. 얼마나 맛이 좋던지 지금도 생각이 난다. 시원하면서 고소하고 진한 게장의 맛이 정말 근사했다. 간장게장을 왜 밥도둑이라 하는지 다시 한 번 알게 된 저녁이었다.
게국지의 국물은 꽃게탕과는 사뭇 달랐다. 뭐랄까 더 달달하면서 매운탕에 가깝다고 해야할까? 시원한 국물이 좋았고, 함께 들어간 배추가 제 역할을 톡톡히 했다. 우리네 꽃게탕에는 배추 대신 무를 넣지 않던가? 그리고 보통 꽃게탕에는 다른 해물도 넣기 마련인데 여긴 그냥 배추와 꽃게뿐이다. 그런데 희안하게 달달하면서 시원 칼칼하다. 아마도 이래서 게국지가 여기 명물이 된 모양이다. 저 국물에 라면사리를 넣어 먹고 싶다는 생각도 했지만 밥 먹으면서 한 숟가락 한 숟가락 퍼 먹다 보니 어느새 국물이 거의 없어지고 말았다.
그렇게 소주 한 잔에 국물 한 번, 밥 한 번에 게장 하나 이런 식으로 참 맛나게 잘 먹었다. 손님은 우리말고 한 팀이 더 있을 뿐이었다. 우리가 있던 곳은 2층이었는데 그래도 1층엔 손님들이 제법 있기는 했다. 식당 이름이 털보선장이라는데 입구에 보니 정말 쓰고 바다에 들어가 뭔가를 잡았다는 잠수 장비가 있었다. 여기에서는 이런 사람을 머구리라고 부르는 것 같았다. 예전엔 참 좋지 않은 장비로 사람들이 위험을 무릎쓰고 바다에서 활동을 했다. 대단한 사람들이다. 생각보다 훨씬 맛이 좋고 분위기가 좋아 다음에 다시 오기로 하고 식당을 나섰다.
어릴 적 추억을 소환하는 푸짐하고 든든한 점심 한 끼, 포천시 신북면 신북돈까스 (0) | 2025.03.16 |
---|---|
최애 메뉴인 동태찌개를 정말 오랫만에 맛나게 먹은 곳, 양주시 삼숭동 명가 동태찌개 (0) | 2025.03.15 |
관인면의 명물로 알려진 도토리 막국수를 포천동에서 만나다. 포천시 포천동 벚골 도토리 막국수 (0) | 2025.03.12 |
칼국수 중에 제일 좋아하는 바지락 칼국수를 제대로 먹게 되었다. 당진시 송산면 주희네 칼국수 (0) | 2025.03.11 |
이른 오전 한적한 교외에서 만나는 신선한 커피 한 잔의 여유, 광주시 오포로 꿀스 커피 (0) | 2025.03.10 |